24시간 쉬지않고 작동하는 가전을 떠올려보면 냉장고가 제일 먼저 생각날 것 같아요. 신선하게 재료나 음식을 보관하기 위해서 냉장고는 필수가전인데요. 냉장고 사용시 문을 여닫으면 외부의 따듯한 공기가 내부로 자주 유입이 되고 그만큼 전력 낭비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냉장고 온도적정온도를 몇도로 설정해야 하는지 알아두는게 좋을 것 같은데요. 계절별로 냉장실과 냉동실 설정 온도가 조금씩 다르고 어떤 재료가 주재료인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냉장고 적정온도를 기사님이 처음에 설정해 준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크게 불편함점 없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다만 냉장고 온도적정온도 범위가 다른 경우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이 신선하지 않거나 반대로 얼어버릴 수도 있으므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봄이나 가을에는 냉장실 온도는 3도~4도로 설정하면 되구요. 여름엔 5도 이하, 겨울은 1~2도로 세팅하는게 기본이라고 합니다. 냉동실은 4계절 내내 영하 18도에서 20도로 성능에 따라 냉장고 적정온도를 찾아 설정하면 좋다고 합니다.
냉장고를 사용하다 보면 터치로 온도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서 간혹 실수로 냉장고 온도를 잘못 누를 수 있는데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장 온도범위가 조금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비슷하니 계절별로만 신경쓰면 좋을 것 같아요.
냉장고 온도적정온도도 중요하지만 냉장고를 사용할 때 음식이나 재료배치를 신경쓰는게 좋다고 해요. 상하기 쉬운 음식은 냉장고 깊이 보관하고 자주 먹는 음식은 바깥에 보관하면 좋구요. 채소나 과일은 보관함(서랍)에 두고 사용하는 것이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냉장고 정리를 자주 해서 용량을 70%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냉장고 적정온도를 맞추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해요. 냉기 순환이 재료로 인해 잘 안되면 자칫 식재료들이 상할 수 있고요.
냉동보관시 음식을 1회분씩 소분하여 먹을만큼만 해동하여 먹는 것이 좋은데요. 많은 양을 보관하여 해동과 냉동을 반복하면 음식상태가 안좋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뜨거운 음식은 식혀서 냉장고에 넣지 않으면 냉장고 내 온도가 높아져 세균이 많아질 수 있답니다.
냉장고 온도적정온도와 함께 보관방법도 알아봤습니다. 여름철이 다가오는 만큼 냉장고에 대해서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시기인 것 같아요. 작은 노력들로 신선한 음식과 함께 전기세를 아낄 수 있도록 깨알 팁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