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은 식사 전 또는 식사 후에 먹어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유산균은 살아 있는 균으로 위액에 의해서 죽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유산균 먹는 시간은 개인마다 편차가 큰 편인데요.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갈 수 있도록 위산이 적게 나오는 시간에 먹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라서 의견이 달라지기도 하므로 유산균 먹는 시간은 식사 전이 좋다 이후가 좋다고 말하기가 어려운 편입니다. 실제 실험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대표적인 유산균 BB536은 식사 전, 후 섭취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HN001 균주는 식전 섭취가 식후 섭취보다 압도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하네요.
또 다른 실험에서도 식사 전이 잘 살아남은 몇 가지 유산균이 있었고, 식전 식후 관계없이 잘 살아남는 균이 있었는데요. 일반적으로 식사 전이 위액과 담즙산 분비가 덜 되는 시점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산균 먹는 시간을 꼭 정해야 한다면 식후보다는 식전이 좋아 보이고요.
체질적으로 유산균을 식전 섭취하기 어려운 분이라면 식후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유산균 먹는 시간은 식전이 좋을 수 있지만, 먹는 시간보다는 꾸준하게 섭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게 좀 더 유산균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하네요. 사람마다 체질도 다르고 유산균 효과도 다를 수밖에 없는데요.
억지로 섭취하는 것보다 편하게 꾸준히 먹는게 건강을 위해서 더 좋은 복용법으로 보입니다. 유산균 먹는 시간이 안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잘 맞지 않은 시간에 억지로 먹으려다가 유산균을 못 먹는 것보다는 잊지 않고 지속해서 먹을 방법이 있다면 유산균 먹는시간보다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