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쌀쌀해진 날씨에 패딩을 입어야할지 고민이 되는 시기입니다. 물론 아직 영하권 날씨는 아니라서 두툼한 후리스 자켓이나 코트를 입으면 더 좋을 것 같은데요. 조만간 패딩을 입어야 할 것 같아 옷정리를 하고보니 패딩에 오염된 부분이 보이더라고요. 봄에 미리 세탁을 해두었으면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깨끗하게 입기 위해서 패딩 세탁방법을 찾아 봤는데요.
주로 전문 세탁업체에 맡겨 드라이클리닝을 하거나 직접 집에서 세탁하는 방법으로 패딩을 관리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패딩 세탁을 집에서 직접 하는 것으로 권하고 싶은데요. 이유는 오리털이나 거위털은 사람의 머리카락처럼 기름층에 둘러쌓여 있다고 하는데 패딩을 드라이클리닝하게 되면 기름층이 제거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보온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패딩은 드라이클리닝이 효과적인 것 같지 않아요.
집에서 하는 패딩 세탁방법으로는 세탁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손빨래로 세탁하는 방법이 있는 것 같아요. 세탁기로 하게 된다면 울코스로 세탁하면 되는데 간혹 울코스가 너무 약해서 때가 잘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표준세탁으로 약하게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지만 패딩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세탁기를 사용하든 손세탁이든 패딩 세탁방법 중 알아두면 좋은 팁이 있는데요. 우선 세탁으로 인해서 패딩이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딩의 여미는 부분은 지퍼로 끝까지 채워주는 것이 좋다고 하고요.
패딩 포자나 퍼(pur)도 분리가 가능하면 분리해서 세탁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손세탁 패딩 세탁방법은 중성세제를 물에 잘 풀어 녹여주고 패딩을 10분 정도 담궈서 때를 불려줍니다. 손세탁할 때 옷감을 비틀면 상할 수 있기 때문에 눌러가면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요. 거품이 나올때까지 충분히 헹궈줍니다.
건조할 때에도 작은 패딩은 수건 등을 이용해서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큰 패딩이나 롱패딩의 경우 섬세 코스로 탈수해도 괜찮습니다. 세탁 코스에서 약보다 더 약한 코스가 바로 섬세코스인데요. 매우 약한 탈수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옷감에 주는 영향이 적은 편이라고 해요. 패딩 세탁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올바른 패딩 건조라고 할 수 있어요. 옷걸이에 말리면 패딩 물이 아래로 모이면서 충전재가 같이 밑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잘 마르지도 않고, 털이 뭉치면서 패딩 모양이 변형될 수 있어요. 바닥이나 건조대 위에 쫙 펼쳐서 말려주는 것이 좋고요. 중간 중간에 패딩을 뒤집어 주기도 하고 톡톡 두들겨서 솜들이 골고루 퍼질 수 있게 신경쓰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건조기를 사용하지만 옷이 줄어든 적이 몇번 있어서 패딩 세탁방법에 적용하기는 겁이 나는데요. 건조기로 패딩을 건조하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직접 해보기전까지는 패딩 세탁방법이 굉장히 어렵게 느껴졌지만 실제로 해보면 그렇게 어렵진 않네요.
물론 손세탁이 세탁기에 익숙한 요즘 사람들에게 불편하긴 하지만 1년에 한번 정도 세탁한다고 생각하면 할만한 것 같아요. 손세탁이 부담스럽다면 세탁기 울코스로 세탁하면 됩니다. 더 추워지기 전에 깔끔하게 방한 준비 할 수 있도록 패딩 세탁방법을 주제로 잡아봤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분이 집에서 패딩을 세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것 같더라고요.
드라이클리닝은 코트만 맡기시고 패딩은 집에서 세탁해 봅시다. 지금까지 패딩 세탁방법에 대해서 나름 구체적으로 풀어보았는데요. 이번 겨울에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겨울이 끝나면 패딩을 잘 보관해야 하는 것은 다들 아시겠죠?